지난 10일, 정부가 대입제도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개편안은 2028년부터 시행되며 현재 중학교 2학년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수능 제도와 내신 평가방법 내용이 모두 포함된 이번 개편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수능체제는 학생들이 적성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는 방식이 아닌, 표준점수 획득에 유리한 과목을 선택한다는 점에서 문제를 지적받아 왔습니다. 특정 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현상을 초래한 것입니다.
이번 대입제도 개편안에서는 ▵수능 선택과목을 폐지하고 ▵국어, 수학, 영어 영역을 모두 동일한 내용과 기준으로 평가하고 ▵탐구과목 역시 문・이과 상관없이 통합사회 1, 2와 통합과학 1, 2 내용을 바탕으로 수능을 개편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다만, 이공계에 특화된 인재를 위한 심화수학 등의 과목 추가개설을 논의중에 있습니다.
내신은 기존 9등급 제도에서 5등급 제도로 개편됩니다. 개편안에 따르면 1등급 대상자는 상위 4%에서 10%로 늘어나는데요. 이는 고등학교 1학년 때 1등급을 놓치면 이후 수업참여 동력이 사라지는 현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급당 학생수 축소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도 1등급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한편 개편안에서는 내신 변별력 유지를 위해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등급을 함께 기재한다고 합니다.
정부는 이번 개편안의 수능 과목쏠림 현상 개선을 통해 한층 공정하고 안정적인 일선 학교 운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신 9등급 제도 폐지를 통해 고1부터 시작하는 내신전쟁이 완화되어 사교육 부담이 줄고, 학생들 간의 협업 능력 및 공동체 능력이 함양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한편 이번 개편안을 우려하는 일각에서는 내신 등급별 구간이 넓어지면 학생 선발 과정에서의 변별력이 줄어들고, 우수학생 선발을 원하는 대학들이 논술이나 면접전형을 강화함에 따라 사교육 부담이 오히려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능의 영향력이 증가하면 강남이나 특목고 학생들만 유리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있습니다.
메이저맵이 발행하는 뉴스레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