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는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기준을 크게 학업역량, 학업태도, 학업 외 소양으로 구분합니다.
학업역량
서울대가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역량입니다. 교과 성적뿐만 아니라 교내 탐구활동,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학업역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성적은 정량 평가를 하지 않습니다. 전 교과목 3년간의 성취도를 정성적으로 평가하기에 수강자 수, 원점수, 표준편차, 평균, 학년별 성적 변화, 선택과목의 특성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합니다. 그렇기에 자신의 진로에 적합한 도전적인 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결코 불리하지 않습니다.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역시 중요합니다. 기재된 교재나 수업 내용, 그 안에서 보인 학생의 노력, 과제 수행 내용 등을 통해 학생이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과 수준을 파악합니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행동 특성 및 종합의견 역시 학생의 학업역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사용됩니다.
- 교과 및 학업 활동 내용에서 우수한 학업역량이 고르게 나타나는가?
- 단순 암기 수준 이상의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지식을 갖추었는가?
- 의미 있는 학습경험은 무엇이었는가?
- 자신의 성취를 점검하고 더 필요한 공부가 무엇인지 고민한 경험이 있는가?
- 습득한 지식을 적절히 활용한 경험이 있는가?
- 노력을 통해 성장한 모습은 어떠한가?
학업태도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에서 나타나는 지적 호기심, 탐구 의지, 학업에 대한 적극성 및 진취성, 과목 선택의 적극성, 진로 탐색 의지 등을 고려하여 평가합니다. 이는 학교생활 기록부에 나타난 학생들의 적극적인 독서활동, 글쓰기, 탐구활동, 실험 수업 등 다양한 학습 경험에서 나타납니다.
- 열심히 공부한 이유는 무엇인가?
- 지식을 쌓기 위한 과정은 어떠하였는가?
- 적극적이며 지속적으로 노력하였는가?
- 학교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 스스로 알고자 하는 호기심과 도전적 태도가 나타나는가?
-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였는가?
학업 외 소양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나타낸 리더십, 공동체 의식, 책임감,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기여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단순히 활동 경력의 많고 적음을 판단하지 않고, 의미 있는 역할과 활동 내용을 질적으로 판단합니다.
- 바른 인성을 갖추려 노력하였는가?
- 학교생활을 통해 리더십을 발휘한 경험이 있는가?
- 공동체 의식을 지니고 있는가?
- 폭넓은 시야를 갖추기 위해 노력한 경험이 있는가?
- 학교생활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한 경험이 있는가?
-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도움을 주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가?
|